반응형

사이버범죄 설명요인들의 분류

 

3. 사회문화수준 사이버하위문화, 네티즌 참여통제

 

. 사이버하위문화

Cohen(1955)의 하위문화이론에 따르면 하위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중류 계층이 요구하는 의상, 행동, 학식 등 사회적 기준을 충족시킬 기회를 얻지 못하여 지위박탈(status deprivation), 또는 지위좌절(status frustration)을 겪게 되고 종국에는 범죄 하위문화에 적응될 수 밖에 없다(Akers & Lee, 1996).

폭력이 적절한 행동으로 평가받는 하위문화의 환경에 있는 사람들은 폭력에 다소 우호적이고 용인하는 태도를 갖기 때문에 폭력을 더 저지르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Heimer, 1997; Bellair, 1997; Markowitz & Felson, 1998; Baron, Kennedy & Forde, 2001) 하위문화이론가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요소를 강조한다.

사회영향이론(Fulk, Schimitz & Strainfield, 1990)에 따라 행위자가 속해있는 사이버공간의 문화규범의 영향력을 강조한 선행연구가 있는데, 비난일색의 토론문화 속에서 언어폭력을 자주 접한 구성원들이 향후 언어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Thompson, 1996; 이상식, 2008).

 

. 네티즌 참여통제

Shaw(1969)McKay(1969)의 사회해체이론은 개인이 거주하는 생활공간의 특성으로 범죄를 설명했다. 지역 구성원들의 유대와 결속력이 낮은 경우,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력이 약화되어 범죄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Bursik & Grasmick, 1993; Sampson & Raudenbush, 2004). 그러나 통상적인 경우와 달리, 구조적으로 범죄에 관대한 하위문화가 형성된 지역에서는 높은 유대가 오히려 범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으며(Villarreal & Silva, 2006), 시민들의 참여에 따른 집합적 효율성이 실질적인 범죄통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한다(Sampson, Raudenbush & Earlls, 1997).

집합적 효율성은 단순한 응집력을 넘어서 사회통제를 위한 공유된 기대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공간이 아닌 사이버공간에의 네티즌간에도 이러한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황승흠, 황성기, 김지연, 최승훈, 2004; 이성식, 2006b).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의 인터넷 명예경찰인 누리캅스, 학부모정보감시단 등의 활동에서 민간참여의 예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Akers, R.L. and Lee, G. (1996). A Longitudinal Test of Social Learning Theory: Adolescent Smoking. Journal of Drug Issues, 26, 317-343.

Baron, S.W., L.W. Kennedy, and D.R. Forde. (2001). Male Streen Youth’s Conflict: The Role of Background, Subcultural, and Situational Factors. Justice Quarterly, 18, 759-789.

Bellair, Paul E. (1997).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ty crime: Examining the importance of neighbor networks, Criminology, 35(4), 677-703.

Bursik, R.U. and Grasmick, H.G. (1993). Neighborhoods and Crime: The dimension of effective community control. Lexiington Books.

Fulk, J., Schimitz, J., and Strainfield, C.W. (1990). A Social Influence Model of Technology Use. In J. Fulk and C. Steinfield(eds.), Organization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Heimer, K. (1997). Socioeconomic Status, Subcultural Definitions, and Violent Delinquency. Social Forces, 75, 799-833.

Markowitz, F.E. and R.B. Felson. (1998). Social Demographic Attitudes and Violence. Criminology, 36, 117-138.

Sampson, R.J. and Raudenbush, S.W. (2004). Seeing Disorder: Neighborhood Stigma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Broken Window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7(4), 319-342.

Sampson, R.J. and Raudenbush, S.W., and Earlls, F. (1997). Neighborhoods and Violent cir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227, 918-923.

Shaw, Clifford R. and McKay, Henry D. (1969).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Thompson, P.A. (1996). What's fueling the flames in cyberspace? A social influence model. In L. Strate, R. Jacobson, & S. B. Gibson (Eds.), Communication in cyberspace: Social interaction in an electronic environment, 279-315. Cresskill, Hampton Press, NJ.

Villarreal, A. and Silva, B. (2006). Social cohesion, criminal victimization and perceived risk of crime in Brazilian neighborhoods. Social Forces, 84(3), 1725-1753.

이성식. (2006b). 사이버범죄와 시민의 역할. 정보화정책, 13(3), 69-86.

이성식, (2008). 사이버범죄의도에 대한 공식처벌의 억제효과 일반청소년과 보호관찰청소년의 비교, 형사정책, 20(1), 187-206.

황승흠, 황성기, 김지연, 최승훈. (2004). 인터넷 자율규제. 커뮤니케이션북스.

반응형
Posted by CCIBO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