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학(警察學)2019. 4. 22. 22:07
반응형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이론적 토대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기본적인 토대는 정신분석학을 근간으로, 범죄자들을 성격적 특성과 범죄현장 특징을 기준으로 삼아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서 용의자를 추론할 수 있다는 범죄자 유형분류론(typologies)과 범죄행위는 범죄자의 내재된 성향(disposition)에 따라 결정된다는 기질이론(trait theory) 등이라고 할 수 있다(Muller, 2000; Snook, Cullen, Bennell, Taylor, & Gendreau, 2008; 정세종, 2012).

 

1) 범죄학적 측면

범죄학은 범죄라는 사회현상에 대한 지식체계이며, 법을 제정하고, 법을 위반하고, 법규위반에 대해 반응하는 과정을 그 영역으로 한다. 범죄학의 목적은 이러한 법, 범죄, 처우의 과정에 대해 일반적으로 입증된 원리와 다른 유형의 지식을 발전시키는 것이다(Sutherland, 1947). 범죄학이 범죄의 원인을 밝히는 학문이라는 일반적 정의에도 불구하고 범죄학은 여러 학문분과를 결합한 복합 학문적 성격이 강하다. 상당수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법학자, 경제학자, 심지어 건축학자들까지 범죄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황성현, 2012).

범죄자 프로파일링이 완벽하려면 범죄자 행동의 원인에 대한 이해와 범죄자 행동에 대한 유형분류 등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범죄학으로부터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연구를 찾을 수 있다. 범죄학적 관점에서 볼 때,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필요성은 범죄에 대한 사실적 증거 자료(documentation)의 확보 및 이론의 발전에 있다(허경미, 2008).

대부분의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범죄행위는 범죄자의 내재된 성향(disposition)에 따라 결정된다는 기질이론(trait theory)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범죄자들은, 상황적 요인보다는, 내재적인 기질에 따라 일관된 범죄행태를 보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범죄행태는 범죄자들의 일상활동과 유사한 형태로 발현된다(Snook et al., 2008: 1260).

 

2) 법의병리학적 측면

법의병리학(forensic pathology)은 법(law)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학적 원리와 지식을 활용하는 응용의학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의병리학자들은 시체(상처의 형태, 질병, 환경 조건, 피해자의 이력 등)의 사인(死因)과 관련이 있는 모든 법의학 증거(forensic evidence)에 대한 감정을 담당한다(Sugden, 1995).

법의병리학자들의 역할은 사망에 관한 사실과 상황을 구체화시키고, 용의자의 진술을 반박할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므로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지원한다고 볼 수 있다(허경미, 2008).

 

 

 

3) 행동과학적 측면

정신의학(psychiatry)은 정신 장애의 진단과 치료를 다루기 위한 의학의 한 분야이다. 법의정신과의사(forensic psychiatrist) 또는 법정증언 정신과의사(alienist)는 정신병을 법률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연구하는 정신과의사라고 할 수 있다. 정신과의사는 개인 이력에 관한 조사, 검사결과의 활용, 성격에 대한 측정을 확인하고 직접 대면하여 실시한 임상적 면접을 통해 정신장애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도출하도록 훈련된다. 이러한 전문적 지식을 특정한 범죄사건의 용의자를 추정하는 데 활용함으로서 범죄수사를 지원하고 있다. , 범죄사건의 여러 가지 물리적인 증거 및 범죄현장, 피해자의 특징, 피해상황 등을 바탕으로 범죄자의 정신이상을 추론하고, 범죄자에 관한 추정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유년기에 훌륭한 역할 모델(role model)의 부재나 학대받은 경험 등 부정적 환경은, 자극(stimulation)과 만족(gratification)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끔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만약 음란물(pornography) 혹은 폭력물(violent fiction)에 접할 기회를 가지면, 환상은 개인이 통제하지 못할 상황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과적으로 개인은 스스로의 환상을 완벽하게 충족시키거나 검거될 때까지 계속하여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범죄자 유형분류 및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전개할 수 있다(Muller, 2000: 248-249).

 

 

참고문헌

Muller, D.A. (2000). Criminal Profiling : Real science or Just wishful thinking?. Homicide Studies, 4, 234-263.

Snook, B., Cullen, R.M., Bennell, C., Taylor, P. and Gendreau, P. (2008), The Criminal Profiling Illusion : What's Behind the Smoke and Mirro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5, 1257-1276.

Sutherland, E.H. (1947). Principles of Criminology. Lippincott, Philadelphia.

Sugden. (1995). The Complete History of Jack the Ripper. Caroll & Graff, New York, 131.

정세종. (2012).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8(2), 149-164.

황성현. (2012).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범죄학. 한국범죄학, 6(1), 165-207.

허경미. (2008), 범죄 프로파일링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치안정책연구소.

 

반응형
Posted by CCIBO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