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은 절대적 기본권을 명문으로 인정하고 있지 아니하며, 헌법 제37조 제2항에서는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비록 생명이 이념적으로 절대적 가치를 지닌 것이라 하더라도 생명에 대한 법적 평가가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생명권 역시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한 일반적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생명권의 경우, 다른 일반적인 기본권 제한의 구조와는 달리, 생명의 일부 박탈이라는 것을 상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생명권에 대한 제한은 필연적으로 생명권의 완전한 박탈을 의미하게 되는바, 위와 같이 생명권의 제한이 정당화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에는 생명권의 박탈이 초래된다 하더라도 곧바로 기본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라 볼 수는 없다.
'법학(法學) > 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법학입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의의 및 헌법적 근거 (0) | 2021.06.21 |
---|---|
[헌법학입문] 자기결정권의 의의 및 헌법적 근거 (0) | 2021.06.21 |
[헌법학입문] 사형제도의 헌법적 근거 (2008헌가23) (0) | 2021.06.21 |
[헌법학입문] 구치소 내 과밀수용행위가 수형자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는지 여부 (2013헌마142) (0) | 2021.06.21 |
[헌법학입문] 기본권충돌의 해결 (0) |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