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학(警察學)2019. 4. 23. 00:03
반응형

FBI 프로파일링 면담 Report

 

미국 FBI의 이분법적 유형론은 1972FBI에 행동과학부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강력범죄들에 대한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지원하게 되면서 축적된 자료와 1978년에 실시된 연쇄살인범들에 대한 인터뷰 자료 등을 근거로 하여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대상이 되는 범죄들의 유형을 체계적 및 비체계적인 형태로 나눈 방식이다(김경옥, 이수정, 2005).

이분법적 유형론은 범죄현장은 범죄자의 성격을 반영한다는 것, 한 범죄자가 저지른 범죄의 범행방식은 유사하다는 것, 인증은 동일한 일관성을 보인다는 것, 범죄자의 성격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Holmes & Homes, 1996). 이 중 범죄자가 범죄를 저지를 때 남기는 두 가지의 심리적 단서 즉, 범행수법(Modus Operandi, M.O.)인증(Signature)이 범죄현장 분석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범행수법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범죄분석 및 다른 사건간의 관련성 분석(linkage analysis)을 하게 된다. 범죄가 일어나는 동안 일관되게 표출되는 범죄자의 행동인 인증은 때때로 우발적인 상황들로 인하여 나타나지 않기도 하므로 범행수법과 달리 범죄자가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행동은 아니다(Mott, 1999).

 

구분

체계적 범죄인의 특성

비체계적 범죄인의 특성

성격 특성

 

높은 지능

사회적으로 적절함

동거인이 있음

대중매체에 관심이 많음

어린시절에 엄격한 훈육을 받음

높은 출생 계층

 

 

 

 

감정통제가 가능함

이동성이 있음

남성적 이미지

매력적 외모

성적 능력을 가짐

 

평균 이하의 지능

사회적으로 부적절함

혼자 생활함

대충매체에 거의 관심이 없음

어린시절 학대 및 비일관적 훈육을 받음

낮은 출생 계층

고등학교 중퇴의 학력

비숙련 노동자

아버지의 직업이 불안정함

범행을 하는 동안 불안감을 느낌

범죄현장 근처에 거주하거나 일함

행동변화가 큼

야간에 활동함

위생상태가 좋지 않음

비밀장소를 가지고 있음

데이트를 하지 않음

범행 후 행동

 

범죄현장에 돌아옴

경찰을 따라다님(경찰애호가)

시체를 범죄현장에서 이동함

시체를 광고하듯이 배치함

 

범죄현장으로 되돌아옴

피해자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경우도 있음

종교로 귀의할 가능성이 높음

일기나 뉴스 기사를 오려 보관함

거주지를 변경할 수 있음

성격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

효과적인

인터뷰 기법

 

직접적 전략의 사용

상세한 세부내용 제시

범죄인이 시인할 것을 자각하고 있어야 함

 

상담적 접근법 사용

간접적으로 정보를 제공

동정심을 보여야함

밤에 인터뷰할 것

 

출처 : Holmes & Holmes, 1996; 김경옥 등 2005, 연구자 재구성

 

이러한 이분법적 유형론을 도출하기 위한 FBI의 살인범 프로파일링 변인을 살펴보면 첫째, 범죄자의 배경정보와 관련해 8개 하위범주(인구통계학적 정보, 신체적 특징, 라이프스타일, 가족구성, 어린시절 환경, 가족문제, 훈육과 학대, 성적 전력)134개의 변인을 확인한다. 둘째, 범행행동과 관련해 4개 하위범주의 119개 변인을 확인하는데, 범죄자 종속변인(마음의 상태, 사전 범행계획, 촉발원인), 범행당시 범죄자의 의복 및 거주 환경, 범행중 행동(피해자와의 대화 및 행동, 무기 사용, 약물 남용), 범행후 행동(뉴스 기사를 오려 보관, 범행현장 재방문, 피해자의 장례식 방문)이 해당된다. 셋째, 피해자에 대해 피해자의 특징(나이, 성별, , 몸무게, 체격, 인종, 피부색, 매력점, 결혼여부, 거주지, 사회경제적 지위, 피해당시 행동) 및 범죄자의 피해자에 대한 행동(살인 방식, 시체의 자세, 사전 또는 사후 성교여부, 사후 행동, 사후 훼손, 시체의 위치) 2개 하위범주의 57개 변인을 확인한다. 넷째, 범죄현장에 대해 4개 하위범주의 47개 변인에 대해 확인한다. 예를 들면, 범죄자의 차량 등 이동수단과 관련된 것, 범죄에 그 이동수단이 이용되었는지 여부, 다양한 물리적 증거(무기, 지문 등 현장유류물), 해자 및 범죄자의 주거지와 범죄발생지와의 거리 등이다(Ressler, et al., 1986).

 

 

참고문헌

김경옥, 이수정. (2005).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연쇄살인 범죄의 유형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31-149.

Holmes, R.M. and Holmes, S.T. (1996). Profiling Violence crimes: An Investigative Tool. Thousand Oaks, Sage, California.

Mott, N.L. (1999) Serial Murder: Patterns in Unsolved Cases, Homicide Studies, 3, 241-255.

Ressler, R.K., Burgess, A.W., Douglas, J.E., Hartman, C.R. and D’Agnostino, R.B. (1986). Sexual killers and their victims: identifying patterns through crime scene analysi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 288-308.

 

반응형
Posted by CCIBOMB
경찰학(警察學)2019. 4. 22. 22:09
반응형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통한 유형 분류 예시 : 미연방수사국(FBI)

 

미연방수사국(FBI)의 범죄자 프로파일링 프로그램을 창시한 Howard Teten1960 캘리포니아 San Leandro법집행부(American Law enforcement officer) 재직시, 범죄자 프로파일링 접근법 개발을 시작하였다. 이후, 그는 FBI의 특수요원이 되어 FBI의 범죄자 프로파일링 프로그램을 창시하였고, 1972FBI 행동과학부(Behavioral Science Unit: BSU)를 발족하여 프로파일러 양성 과정을 운영하였다(Teten, 1997).

FBI는 프로파일링 부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국의 다른 법집행기관과 공동으로 노력하여 적극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범죄수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유형분류방식은 FBI2분법 즉, 범죄자들을 체계적이고 반사회적인 유형(organized nonsocial)과 비체계적이고 비사회적인 유형(disorganized asocial)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 분류법의 기본 가정은 범죄현장에 나타난 행동특성을 바탕으로 범죄를 체계적인 유형과 비체계적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범죄자들 역시 성격적 특성을 토대로 체계적인 유형과 비체계적인 유형으로 구별지울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범죄와 범죄자들간에는 일관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체계적인 유형의 범죄자들은 체계적인 범행을 저지르고, 비체계적인 범죄자들은 비체계적인 유형의 범죄를 저지른다(Snook et al., 2008: 1259).

피해자 특성과 범죄장소의 특성간 일반적 관계에 기초하여 범죄자가 사용한 피해자 물색방식과 공격방식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Rossmo, 1999).

방식

범죄자 유형

설명

피해자 물색방식

Hunter

자신의 거주지를 중심으로 피해자를 탐색하는 범죄자

Poacher

자신의 거주지와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피해자를 탐색하는 범죄자

Troller

자신의 일상활동 중에 기회주의적으로 피해자를 선택하는 범죄자

Trapper

자신이 선호하는 피해자를 만나기 쉬운 직업이나 일상활동을 의도적으로 전개하여 그 과정에서 피해자를 선택하는 범죄자

피해자 공격방식

Raptor

피해자를 만나자마자 덮치는 범죄자

Scalker

피해자를 추적하여 덮치는 범죄자

Ambusher

잠입하여 숨어있다 덮치는 범죄자

출처 : Rossmo(1999).

 

 

참고문헌

Teten. (1997). Offender profiling. In W. Bailey(Ed), The encyclopedia of police science. Garland, New York.

Snook, B., Cullen, R.M., Bennell, C., Taylor, P. and Gendreau, P. (2008), The Criminal Profiling Illusion : What's Behind the Smoke and Mirro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5, 1257-1276.

Rossmo. Dk.K. (1999). Geographic profiling. In J.L. Jackson and D.A. Bekerian (eds.), Offender Profil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Wiley, New York.

반응형
Posted by CCIBOMB